청소년기에 어지럼증을 호소하는 경우
편두통과의 연관성이 높다는 사실이 밝혀졌습니다.
특히 어지럼증은 편두통에서
두통 다음으로 흔한 증상이며
두통 없이 어지럼증만 생기는 경우도 있어,
청소년기에 어지럼증이 발생할 경우
편두통 가능성도 염두에 두어야 합니다.
전정편두통은 흔히 ‘편두통성 어지럼증’이라고도
불리는데 두통과 어지럼증이
반복되는 것이 특징입니다.
편두통 환자의 30%는 어지럼증을
경험하는 것으로 알려져 있으며
재발성 어지럼증의 가장 흔한 원인이
전정편두통이라는 연구결과도 있습니다.
전정편두통을 일으키는 유발인자
수면장애, 스트레스, 불안, 밝은 조명,
약물 등이 알려져 있으며 월경주기나
특정 음식이 유발하는 경우도 있습니다.
특히 청소년기에는 수면이 부족하거나
식사를 자주 거르는 경우 증상이 발생하기 쉬우며,
청소년기에 나타나는 편두통 환자들은
어지럼증을 더욱 자주 호소하는
경향이 있습니다.
전정편두통 환자가 겪는
어지럼증 증상 다양
주변이 도는 자발성 현훈(주위가 빙빙 도는 느낌)증,
자세를 바꾸면 생기는 체위성 현훈증,
걸을 때 발생하는 자세 불안 등이
나타날 수 있습니다.
한 환자에게서도 이런 양상이
매번 다르게 발생하기도 합니다.
전정편두통은 질환 자체로 다양한 어지럼증이
동반되지만 직접적인 원인에 의한
어지럼증 외에도 메니에르병, 이석증,
기립성 어지럼증, 심인성 어지럼증,
약물 복용으로 인한 어지럼증 등
다양한 어지럼증이 같이 발생할 수 있어
증상이 반복될 때 감별 진단이
치료에 매우 중요합니다.
노년기에도 발생할 수 있어
젊은 시절부터 전정편두통이 있었던 환자들은
나이가 들어서도 두통과 어지럼증이
반복되기도 하며, 두통 없이
어지럼증만 발생하는 경우가 흔합니다.
특히 노년기에는 수면장애나
심리적 스트레스 등의 위험 요인으로
증상이 악화될 가능성이 큽니다.
전정편두통 치료는 편두통 예방치료에 의해
호전될 수 있는 것으로 알려져 있습니다.
환자마다 차이가 있지만 스트레스,
수면과다 또는 부족, 공복, 추위, 생리,
특정 음식 등이 유발요인이 되는
경우가 있습니다.
과거에 편두통 발작을 일으켰던 음식을 피하고
두통 일기를 쓰며 개인의 유발 요인을
파악하는 것도 증상 완화에
도움될 수 있습니다.
각 지역에 있는 소리청 한의원 지점을 확인해보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