고층으로 가는 엘리베이터를 타거나 등산 시 정상에 가까워질 때, 비행기를 탔을 때 등의 상황에서 우리는 귀가 먹먹해지는 증상을 쉽게 느낄 수 있는데 이러한 증상이 특별한 상황이 아닌 시도 때도 없이 나타나 생활에 불편함을 겪는 경우엔 이관기능장애를 의심할 수 있다.
이관은 중이와 비강 사이를 연결하는 유일한 공간으로 평소에는 닫혀 있지만 하품을 하거나 침을 삼키는 행위 등을 할 때 자율신경계에 의해 열고 닫힌다. 이로 인해 중이와 고막 바깥쪽 압력 차이를 조절하는 역할을 한다.
이런 기능은 비강의 분비물이나 염증이 중이로 넘어오지 않도록 도와주는 한편, 중이 내의 환기와 정화 등을 도맡아 하고 있다. 다만 이러한 역할이 제대로 이뤄지지 않는 경우를 이관기능장애라고 하며 여기에 문제가 생기면 귀가 먹먹한 느낌과 함께 본인의 목소리나 숨소리가 울리면서 들린다.
이러한 이관기능장애는 이관이 닫히지 않고 계속 열려있는 이관 개방증과 이관이 좁아지면서 잘 열리지 않는 이관폐색증의 두 유형으로 진단할 수 있다. 이 중 이관폐색증은 아데노이드 비대증으로 이관의 입구가 막힌 경우, 감기나 알레르기비염, 만성비염, 축농증, 코골이, 수면무호흡증 등에 의해 점막이 부어 이관이 열려야 할 때 제대로 열리지 못하면 발생한다. 증상이 지속되면 귀의 통증과 함께 삼출물이 고여 삼출성 중이염으로 진행되는 경우도 있다.
고막의 손상, 중이염 등의 다양한 질병의 원인이 될 수도 있는 만큼 증상이 느껴진다면 대전 이관폐색증 진료 의료기관에 내원해 치료를 받는 것이 좋다. 이관폐색증으로 인한 귀먹먹함을 치료함에 있어서 대전 소리청한의원에서는 한약으로 자율신경을 조절하고, 구조적인 문제가 두드러지는 경우에는 추나요법과 침치료, 약침치료를 통해서 개선을 돕는다.
이관기능장애 예방 및 관리
-금연
-감염 예방
-알레르기 관리
-압력 변화에 대한 주의
각 지역에 있는 소리청 한의원 지점을 확인해보세요.